모바일 앱 접근성(이하 'MACAG' - Mobile Application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모든 사람들이 정보와 기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터치스크린 사용, 소형 화면 크기, 다양한 입력 방식 등 모바일 특성을 고려한 접근성입니다.
국내 행정안전부고시 제2011-38호에 따르면
모바일 접근성 이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에게 활용가능성이 제공됨을 말한다.
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국제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는 모바일 접근성을 WCAG(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의 일환으로 다루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이러한 국제 기준에 맞춰 모바일 앱 접근성 지침을 마련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WCAG)과 마찬가지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도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가 콘텐츠를 인지하고, 운용하며, 이해하고, 견고하게 제공받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4.3.1. 모바일 앱 접근성 지침과 주요 측면
모바일 앱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지침과 주요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지침은 장애가 있는 사용자들도 앱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모바일 앱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침을 일관되게 적용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으로 조정 및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며,
접근성을 고려한 설계는 모든 사용자가 앱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시각적 접근성
텍스트 대비
텍스트와 배경 사이의 색상 대비를 충분히 높여 시각적으로 구분이 잘 되도록 합니다. 충분한 대비는 색맹 사용자와 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글꼴 크기 및 스타일
사용자가 글꼴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읽기 쉬운 글꼴을 사용합니다. 텍스트를 확대하거나 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도 중요합니다.
이미지 대체 텍스트
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alt text)를 제공하여 스크린 리더가 이미지를 설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청각적 접근성
자막 및 오디오 설명
비디오 및 오디오 콘텐츠에 자막을 제공하고, 중요한 시각적 요소에 대한 오디오 설명을 추가합니다.
시각적 알림
청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위해 소리 알림 외에 시각적 또는 진동 알림을 제공합니다.
상호작용 접근성
터치 및 제스처
터치 스크린의 버튼과 제스처 인식을 최적화하여 손의 사용이 어려운 사용자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버튼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고, 제스처의 오작동을 방지합니다.
키보드 내비게이션
앱의 모든 기능을 키보드 또는 대체 입력 장치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화면 읽기 도구와 호환되는지 확인합니다.
비주얼 디자인
단순하고 일관된 디자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여 사용자가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일관된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여 학습 곡선을 줄입니다.
명확한 레이블과 안내
버튼, 링크 및 입력 필드에 명확하고 설명적인 레이블을 붙입니다.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오류를 줄입니다.
읽기 및 이해
단순하고 명확한 언어
직관적이고 간결한 언어를 사용하여 모든 사용자가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복잡한 용어와 문장을 피합니다.
구조적 요소
헤더, 리스트, 표 등 구조적 요소를 사용하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스크린 리더가 정보를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
테스트 및 피드백
접근성 테스트
다양한 접근성 도구를 사용하여 앱의 접근성을 테스트하고, 실제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습니다. 자동화된 접근성 검사 도구와 수동 테스트를 병행합니다.
사용자 피드백
장애가 있는 사용자들로부터 직접 피드백을 받아, 앱의 접근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국제화 및 지역화
다국어 지원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여 국제적으로 사용 가능한 앱을 만듭니다. 언어 선택 시 접근성 표준을 따릅니다.
문화적 배경 고려
지역에 따른 디자인 및 콘텐츠의 적절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4.3.2. 모바일 앱 접근성 체크리스트
모바일 앱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크리스트는 앱 개발 시 모든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성 요소를 고려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면 모바일 앱의 접근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4.3.2.1.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대체 텍스트
모든 이미지, 아이콘, 버튼 등에 적절한 대체 텍스트가 제공되었는가?
자막 제공
동영상 및 오디오 콘텐츠에 자막을 제공하는가?
색상 대비
텍스트와 배경 간의 색상 대비가 충분히 높은가? (최소 4.5:1)
확대/축소
사용자가 텍스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가?
콘텐츠 구조
헤딩, 리스트, 테이블 등 콘텐츠 구조가 논리적이고 명확한가?
4.3.2.2. 운용의 용이성(Operable)
터치 타겟 크기
버튼과 인터랙티브 요소의 터치 영역이 충분히 큰가? (최소 44x44픽셀)
키보드 접근성
외부 키보드 사용 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가?
쉬운 네비게이션
앱 내 네비게이션이 직관적이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가?
제스처 대체
복잡한 제스처를 단순한 터치로 대체할 수 있는가?
초점 순서
화면 요소 간 초점 이동 순서가 논리적이고 예측 가능한가?
4.3.2.3.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명확한 언어 사용
단순하고 명확한 언어로 정보를 제공하는가?
일관된 레이아웃
모든 화면에서 일관된 레이아웃과 디자인을 유지하는가?
피드백 제공
사용자 작업 완료 또는 오류 발생 시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는가?
에러 방지
사용자가 실수하기 쉬운 부분에서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가?
입력 지원
입력 시 자동 완성, 입력 도움말 등을 제공하는가?
4.3.2.4. 견고성(Robust)
기기 호환성
다양한 기기와 운영체제에서 앱이 일관되게 작동하는가?
최신 기술 지원
최신 접근성 기술과 표준을 적용하고 있는가?
콘텐츠 접근성
동적 콘텐츠가 접근성을 유지하며 제공되는가?
호환성 테스트
다양한 보조기기와 호환성을 테스트했는가?
코드 품질
접근성 표준을 준수하는 코드로 작성되었는가?
4.3.2.5. 추가 고려 사항
사용자 피드백 수집
접근성과 관련된 사용자 피드백을 정기적으로 수집하고 반영하는가?
교육 및 훈련
개발자와 디자이너에게 접근성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가?
지속적인 개선
접근성 문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는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는가?
4.3.3. 모바일 앱 접근성 항목별 체크리스트
대체 텍스트
텍스트 아닌 콘텐츠는 대체 가능한 텍스트와 함께 제공되어야 합니다.
자막, 수화 등의 제공
영상이나 음성 콘텐츠에는 동등한 내용의 자막, 원고 또는 수화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색에 무관한 인식
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정보는 색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합니다.
명도 대비
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와 텍스트는 전경색과 배경색이 구분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합니다.
명확한 지시 사항
지시 사항은 모양, 크기, 위치, 방향, 색, 소리 등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합니다.
알림 기능
알림 정보는 화면 표시, 소리, 진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초점
의미나 기능을 갖는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에는 초점(focus)이 적용되고, 초점은 논리적인 순서로 이동되어야 합니다.
누르기 동작 지원
터치(touch) 기반 모바일 기기의 모든 컨트롤은 누르기 동작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응답 시간 조절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정지 기능 제공
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컨트롤의 크기와 간격
컨트롤은 충분한 크기와 간격으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입력 도움
입력 서식 이용 시, 입력 오류를 방지하거나 정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관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은 일관성 있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깜박거림의 사용 제한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합니다.
자동재생 금지
자동으로 재생되는 배경음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예측가능성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화면 전환이나 이벤트 등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폰트 관련 기능의 활용
텍스트 콘텐츠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폰트 관련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보조 기술과의 호환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는 보조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4.3.4. 모바일 앱 접근성 용어
접근성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
모바일 기기
입력 및 출력기능이 있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 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운영체제를 갖는 모바일 전화기, 운영체제를 갖는 태블릿 기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모바일 플랫폼 개발언어로 제작된 응용 프로그램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기관 및 사업자
무리한 부담(undue burden)
현재 가능한 기술 수준과 적절한 비용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정도 이상의 노력을 요구함
보조 기술
장애인의 신체적․인지적 기능을 증진, 보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 장비의 일부분,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
보조기술의 예로는 시각 장애인용 화면 낭독기, 저시력 장애인용 화면 확대 프로그램, 점자 표시를 위한 점자 디스플레이 및 상지 장애인을 위한 안구 마우스 등이 있음
대체 텍스트
이미지의 표현 또는 이미지를 설명하는 텍스트
명도 대비
화면의 배경색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및 텍스트를 표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전경색 사이의 명도 차이의 비율(contrast)
초점(포커스)
화면상의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의 내용을 화면 낭독 프로그램 등의 보조 기술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는 초점이 적용되고, 초점은 화면상에서 테두리나 하이라이트로 표시됨
개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커서를 표시하여 초점을 표현함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초점을 받았다는 것은 그 요소가 선택되어 사용자가 입력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임을 의미함
누르기 동작
화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를 손가락 끝으로 접촉하여 만지거나(touch) 가볍게 두드리는(tap) 동작
컨트롤(control)
버튼 또는 위젯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누르기 동작으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폰트 관련 기능
운영체제에 내장되어 확대/축소, 기울임, 색변환, 음영 등의 변형 형태가 제공되어 보조 기술(스크린리더 등)이 처리할 수 있는 기능
기본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에 사용되는 표준 도구(대화상자, 버튼과 체크박스, 타이틀바 등)
팝업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문맥에 따라 나타나는 정보
팬
손가락을 댄 후, 손을 떼지 않고 계속적으로 끄는(drag) 움직임
지시 사항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무엇을 하거나 사용하는 데 필요한 자세한 설명
객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아이콘과 같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가시적 실체에 의해 표현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