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 접근성 견고성 - by. UXKM
- A11Y
- 접근성 체크리스트
- 모바일 앱 접근성 견고성
요약 설명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구축, 운영, 개선 및 유지 보수할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모바일 전화기,
태블릿기기 등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를
WCAG 2.0(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에서 제시하고 있는 접근성 설계의 4가지 원칙 기준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의 설계 및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폰트 관련 기능의 활용
요약 설명
텍스트 콘텐츠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폰트 관련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모바일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텍스트 크기, 글꼴, 대비 등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앱 내에서도 이를 지원하여 사용자가 적합한 텍스트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접근성을 높여 다양한 사용자가 앱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또한, 일관성 있는 UI는 사용자가 각 요소의 위치와 동작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며, 특히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WCAG 2.2 Guidelines :
1.4.3 Contrast (Minimum)
WCAG 2.2 Guidelines :
1.4.4 Resize Text
필요성
-
사용자 맞춤화 보장
각 사용자는 텍스트를 읽는 데 필요한 요구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운영체제의 폰트 설정을 따르는 앱은 이러한 개인 맞춤화를 지원해야 합니다.
-
가독성 향상
텍스트 크기나 대비를 조절할 수 있으면 사용자는 자신의 시력에 맞게 텍스트를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
접근성 보장
시각 장애나 저시력을 가진 사용자가 텍스트를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폰트 관련 기능을 지원하면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제공 방법
-
운영체제 폰트 설정 준수
앱의 텍스트 콘텐츠는 운영체제의 텍스트 크기, 글꼴, 대비 설정을 자동으로 따라야 합니다.
사용자가 설정한 텍스트 크기와 스타일이 앱 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해야 합니다.
-
동적 텍스트 크기 지원
사용자가 텍스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Android의 sp
단위나 iOS의 Dynamic Type
을 사용하여 텍스트 크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사용자 정의 설정 제공
앱 내에서 추가적인 폰트 크기 조절 기능이나 고대비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텍스트를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합니다.
예시
네이티브 앱 예시 (Android)
운영체제의 폰트 설정을 따르는 텍스트
하이브리드 앱 예시 (HTML/JavaScript)
운영체제의 폰트 설정을 따르는 텍스트
검수 방법
- 운영체제의 텍스트 크기나 폰트 설정을 변경한 후, 앱의 텍스트가 이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는지 확인하였는가?
- 텍스트가 모든 사용자에게 가독성이 높고, 다양한 텍스트 크기에서 읽기 쉽게 표시되는지 테스트하였는가?
- Google Accessibility Scanner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텍스트 관련 접근성 문제를 점검하였는가?
보조 기술과의 호환성
요약 설명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는 보조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보조 기술은 시각, 청각, 신체적 장애가 있는 사용자들이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나 소프트웨어입니다.
UI 컴포넌트가 이러한 보조 기술과 호환되도록 설계되면, 모든 사용자가 앱을 접근 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UI 컴포넌트에는 적절한 접근성 속성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WCAG 2.2 Guidelines :
2.1.1 Keyboard
WCAG 2.2 Guidelines :
4.1.2 Name, Role, Value
필요성
-
접근성 보장
시각, 청각,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이 보조 기술을 통해 앱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합니다.
-
법적 요구사항 준수
많은 국가에서는 웹 및 모바일 앱의 접근성을 보장하는 법적 요구사항이 있으며, 이를 준수하면 법적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
포용적 사용자 경험 제공
보조 기술을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비장애인 사용자와 동일하게 앱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제공 방법
-
적절한 접근성 속성 사용
UI 컴포넌트에는 ARIA
속성, role
속성, label
등을 사용하여 보조 기술이 각 요소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포커스 관리
모든 인터랙티브 요소는 포커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하며,
포커스는 논리적인 순서로 이동하도록 설정하여 사용자가 키보드나 보조 기술을 통해 앱을 원활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텍스트 대체 제공
이미지, 버튼, 링크 등의 비텍스트 요소에 대해 스크린 리더가 읽을 수 있는 텍스트 대체(예: alt
텍스트, aria-label
등)를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여야 합니다.
-
동작 피드백 제공
사용자가 UI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할 때,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보조 기술을 통한 피드백도 제공하여 현재 상태를 명확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
보조 기술과의 테스트
앱이 주요 보조 기술(스크린 리더,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등)과 호환되는지 정기적으로 테스트하고, 발견된 문제를 신속하게 수정해야 합니다.
예시
네이티브 앱 예시 (Android)
보조 기술을 위한 접근성 속성 설정
하이브리드 앱 예시 (HTML/JavaScript)
ARIA
속성을 사용하여 보조 기술 호환성 보장
검수 방법
- 스크린 리더(예: Android의 TalkBack, iOS의 VoiceOver)나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앱을 테스트하고, 모든 UI 컴포넌트가 올바르게 인식되고 작동하는지 확인하였는가?
- 키보드나 보조 기술을 통해 포커스를 이동시키며, 모든 인터랙티브 요소가 논리적 순서로 탐색되는지 확인하였는가?
- Google Accessibility Scanner, WAVE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UI 컴포넌트의 접근성 문제를 점검하고 수정하였는가?
모바일 앱 접근성 요약 보고서
모바일 앱 접근성 요약 보고서 예시로, 체크박스의 체크 여부가 저장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