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포인터 입력 지원 - by. UXKM

요약 설명

관련 지침 : 다중 포인터 또는 경로기반 동작을 통한 입력은 단일 포인터 입력으로도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터치 기반 기기에서 두 손가락 이상을 요구하거나 특정 경로를 따라야 하는 제스처가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한 손가락만으로 최소한의 동작으로 콘텐츠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관련 용어 설명

  • 포인터 입력

    마우스, 펜 또는 터치 접촉과 같이 화면에서 특정 좌표(또는 좌표 세트)를 대상으로 삼는 입력

  • 단일 포인터(single pointer)

    단일 탭과 클릭, 더블 탭과 클릭, 길게 누르기 등을 포함하여, 화면과 접촉하는 한 지점에서 작동하는 포인터 입력

  • 다중 포인터(multipoint gesture)

    핀치 줌, 멀티 터치 회전, 세 손가락 탭 등 두 개 이상의 포인터를 이용해서 입력해야 하는 입력 방식

  • 경로기반 동작(path-based gesture)

    직선 그리기, Z 자 그리기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에서 특정한 경로나 모양을 그리는 동작

관련 WCAG 2.2 성공 기준

2.5.1 Pointer Gestures (Level A) WAI - Understanding Pointer Gestures MDN - Touch events

단일 포인터 입력 지원 예외 상황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다중 포인터(예: 핀치 줌, 두 손가락 탭 등) 또는 쓸어 넘기기 등의 경로 기반 동작(예: 스와이프, 끌기와 놓기, 그리기 등)을 통한 입력으로 작동하는 모든 기능은 단일 포인터 입력으로도 조작할 수 있는 대체 수단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구체적인 대체 방법 예시 :
두 손가락 핀치 줌 기능 대신, 한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 - 버튼을 제공
회전 제스처 대신 회전 버튼 제공
파일이나 항목 끌기(drag) 대신, “선택” 후 “이동” 버튼 제공
특정 모양을 그려야 하는 동작 대신, 동일한 기능을 실행하는 버튼 제공

이러한 대체 수단은 사용자가 쉽게 발견할 수 있어야 하며, 원래 제스처나 끌기(drag) 동작과 동등한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다만, 다음의 경우에는 예외로 인정됩니다.
필수적인 경우

피아노 애플리케이션에서 건반을 동시에 눌러야 하거나, 서명 기능처럼 사용자의 자유로운 손 움직임이 핵심 기능에 필수적인 경우

운영체제·브라우저 기본 제공 동작

두 손가락으로 화면 스크롤, 핀치 줌 아웃, 엣지 스와이프 등 표준 제스처는 예외로 간주됩니다.

기대효과

  • 한 손가락 또는 스틱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거나 다중 포인터 동작을 통한 입력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사용자도 해당 장치나 동작을 통한 입력을 할 수 있습니다.
  • 손떨림, 시각장애 등으로 끌기 동작이나 복잡하거나 정교한 동작, 또는 그리기 동작을 통한 입력이 어려운 사용자도 해당 동작을 통한 입력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복잡한 조작 과정이나 수단을 통한 입력을 이해하기 어려운 인지 또는 학습장애 사용자도 해당 조작 과정이나 수단을 통한 입력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필요성

두 손가락으로 쓸어내리는 동작이나 다중 포인터 기반 입력은, 일부 장애가 있거나 한 손가락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는 수행이 어렵습니다.
또한, 스와이프 제스처나 끌기(drag) 기반 조작은 손떨림이나 근력 약화, 정밀 조작이 어려운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기능은 단일 입력 방식으로도 작동할 수 있어야 하며, 다음과 같은 대체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 스와이프 대신 버튼이나 슬라이더 형태로 제공
  • 끌기와 놓기 기능을 버튼 클릭으로 대체
  • 핀치 줌이나 회전 기능을 각각 확대/축소 버튼, 회전 버튼으로 대체

대상

  • 사용자 유형
  • 이유
  • 지체 장애 사용자

    다중 입력 불가 또는 복잡한 제스처 수행 어려움

  • 시각장애인

    스크린 리더 사용 시 제스처 수행 불가능

  • 고령자

    정밀한 손동작 조작이 어려움

체크리스트

  • 핀치 확대/축소 또는 회전 등의 기능이 단일 입력으로도 제공되는가?
  • 다중 경로를 요구하는 기능에 대체 UI 또는 단일 입력 방식이 있는가?
  • 스와이프 등의 제스처가 버튼, 슬라이더 등으로 대체 가능한가?

테스트 방법

  • 핀치 줌 또는 회전 기능을 단일 포인터로 수행 가능한지 확인합니다.
  • 다중 손가락 제스처 대신 버튼이나 UI 구성요소로 대체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스크린 리더 사용 또는 한 손가락 입력만으로 기능 사용 가능 여부를 테스트 합니다.

QA 지표

  • 단일 포인터 대체 기능 제공률
  • 제스처 기반 기능의 접근 가능한 UI 제공률
  • 다중 제스처 사용이 요구되는 기능 수

개발방법

html + JavaScript 예시 – 확대/축소 대체 버튼 제공

Vue 예시 – 제스처 대신 버튼 UI 제공

React 예시 – 확대/축소 버튼 제공

점검 기준

  • 다중 포인터 또는 제스처 기반 기능에 단일 입력 대안이 있는가?
  • 사용자가 단일 손가락/마우스 입력으로도 조작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가?

점검 방법

  • 핀치 줌이나 회전 제스처를 단일 클릭 또는 버튼으로 대체 가능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 UI 내 확대, 축소, 슬라이드 등 기능에 접근 가능한 대체 요소 존재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준수/미준수 사례

미준수 사례

다중 포인터 동작을 대체할 수 있는 단일 포인터 입력 미지원

다음은 숙소 서비스에서 핀치 줌 인/아웃 기능으로 확대 및 축소할 수 있는 지도 기반 검색 기능 사례입니다.
핀치 줌 인/아웃은 동시에 두 손가락으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을 사용할 수 없거나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없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이 조작이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음성 명령 사용자도 핀치 줌 조작을 명령할 수 없기 때문에 확대/축소 행위를 할 수 없습니다.

[출처 :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기법 개정판]
개선 방법
단일 포인터 입력만으로 확대/축소가 가능하도록 확대/축소 버튼을 제공합니다. 버튼으로 제공된 컨트롤은 보조기기 등을 통해서도 조작할 수 있습니다.

끌기와 놓기를 대체할 수 있는 단일 포인터 입력 미지원

다음은 끌기와 놓기를 통한 이미지 업로드를 제공하는 웹 앨범 서비스 사례입니다.
끌기와 놓기 동작으로만 파일 첨부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 마우스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포인팅 기기를 사용하기 어려운 사용자 또는 화면을 볼 수 없는 사용자는 파일을 첨부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출처 :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기법 개정판]
개선 방법
‘파일선택’ 버튼 등을 제공하여 끌어다 놓는 동작이 아닌 단순 버튼 클릭만으로도 파일을 선택하여 파일 첨부가 가능하도록 제공합니다.

경로 기반 동작을 대체할 수 있는 단일 포인터 입력 미지원

다음은 쇼핑몰에서 작은 화면에 여러 추천 상품을 노출하기 위해 스와이프 동작을 통해 이전/다음 콘텐츠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로의 경로를 그려 이전/다음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화면을 볼 수 없는 사용자 또는 손 떨림이 심한 사용자 등은 올바른 경로를 그리기 어렵기 때문에 기능을 이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출처 :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기법 개정판]
개선 방법
단일 포인터 입력만으로 이전/다음 콘텐츠를 노출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합니다.
특정 순서의 콘텐츠를 바로 노출할 수 있는 컨트롤(예를 들어, 페이지 입력 상자 또는 인디케이터 등)을 제공합니다.
전체 콘텐츠를 한 번에 펼쳐 볼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합니다.

준수 사례

다중 포인터 동작을 단일 포인터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는 버튼 제공

다음은 지도 서비스로 두 손가락 핀치 줌 인/아웃 기능이 제공되는 사례입니다.
한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 / - 버튼을 제공함으로써, 다중 포인터 동작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사용자도 쉽게 지도를 확대하고 축소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기법 개정판]

경로 기반 동작을 단일 포인터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제공

다음은 스와이프 제스처로 이전/다음 콘텐츠를 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스와이프 동작뿐만 아니라 한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이전/다음 버튼으로도 제공함으로써, 스와이프 동작이 어려운 사용자도 쉽게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기법 개정판]

관련 영상

출처 : 리베하얀


접근성 테스트 도구 활용 점검방법

결론

접근성은 시작은 있지만 끝이 없는 작업입니다.
오류 항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접근성 개선을 한다면 점차 검사를 할 항목이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모두가 차별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 유지를 위한 모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접근성 작업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선택이 아닌 필수로 지켜야하는 항목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접근성 작업 시 점검 필수사항

  • 접근성 가이드(WCAG, KWCAG, WAI-ARIA) 내용 숙지
  • 접근성 체크리스트 작성
  • 접근성 자동 및 수동 검사(스크린리더) 진행
  • 접근성 검사 툴(Lighthouse Accessibility 등) 활용 오류 항목 개선 및 내용 정리
  • 접근성 사용자 테스트
  • 접근성 정기적인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