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d element - by. UXKM
요약 설명
<kbd>
요소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보드 입력(keyboard input)을 나타내는 시맨틱 태그로, 명령어나 키 조합, 단축키 등을 텍스트 상에서 명확히 구분할 때 사용됩니다.
브라우저에서는 기본적으로 고정폭 글꼴로 표시되며,<code>
,<samp>
,<pre>
등과 함께 사용하면 사용자 입력과 시스템 출력의 역할을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문서나 튜토리얼에서 "Ctrl + C", "Enter", "npm start" 등 직접 입력해야 하는 내용을 강조할 때 유용합니다.
주요 역할 및 특징
-
키보드 입력 표현
-
<kbd>
는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해야 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데 적합합니다. -
예:
Ctrl + C
,ls -la
,git commit -m "message"
.
-
-
고정폭 글꼴 사용
브라우저에서 기본적으로 고정폭 글꼴(예:
monospace
)로 렌더링되어 입력 내용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의미론적 역할
<kbd>
는 단순한 스타일링이 아닌, 문맥적으로"키보드 입력"
을 나타내는 의미론적 요소입니다. -
다른 요소와의 조합
-
<samp>
와 함께 사용하여 키보드 입력과 시스템 출력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예:
입력: <kbd>ls</kbd>
→출력: <samp>file1.txt file2.txt</samp>
.
-
-
CSS 스타일링 가능
- 기본 스타일 외에도 CSS를 사용하여 테두리, 배경색 등을 추가하여 실제 키보드 버튼처럼 시각적으로 꾸밀 수 있습니다.
- 예: ↑, →, ↓, ←, enter, tab, esc, shift, ctrl, N, F,
CSS 기본 값
<kbd>
요소는 기본적으로 인라인 레벨 요소이며, 별도의 CSS를 지정하지 않아도 아래와 같은 기본값이 적용됩니다.
기본 문법
속성
<kbd>
요소는 고유 속성을 가지지 않으며,
글로벌 속성(class
, id
, style
, aria-*
, data-*
등)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제
터미널 명령어 입력
<samp>
와의 조합 (키보드 입력 및 출력 구분)
CSS로 스타일링된 키보드 입력
접근성을 고려한 키보드 입력
주의사항
-
<kbd>
는 반드시 키보드 입력을 나타내는 용도로만 사용해야 하며, 단순히 고정폭 글꼴을 적용하는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사용자 입력(
<kbd>
), 시스템 응답(<samp>
), 코드 출력(<code>
)은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므로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