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 접근성 이해의 용이성 - by. UXKM

요약 설명

WCAG 2.0(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에서 제시하고 있는 접근성 설계의 4가지 원칙인 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 견고성을 제시합니다. 이 원칙들을 기준으로 접근성을 준수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설계하고 개발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요약 설명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은 사용자가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해의 용이성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입력 도움

요약 설명

입력 서식 이용 시, 입력 오류를 방지하거나 정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고려 사항
  • 입력 서식에는 용도와 목적을 알 수 있는 대체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 별도의 입력 방식이 있는 입력 서식에는 입력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입력내용에 대한 설명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 사용자 입력 값에 오류가 있는 경우 오류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정정할 수 있도록 해당 오류내용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 입력 서식의 오류 내용을 수정하기 용이하도록 오류가 발생된 지점으로 초점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입력 도움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관성

요약 설명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은 일관성 있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고려 사항
  •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들의 배치는 일관성 있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 애플리케이션 내의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컨트롤은 동일하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관성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깜박거림의 사용 제한

요약 설명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합니다.

고려 사항
  • 화면상에서 깜빡임의 효과를 제공해야 하는 콘텐츠는 초당 3 ~ 50 회의 주기는 피해서 제공하는것이 바람직합니다.
  • 불가피하게 사용할 경우, 깜빡임을 제공하는 콘텐츠는 사전에 알리고,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깜박거림의 사용 제한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자동재생 금지

요약 설명

자동으로 재생되는 배경음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고려 사항
  • 자동으로 재생되는 배경음은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단, 3 초 미만의 배경음은 예외로 인정합니다.
  • 배경음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손쉽게 멈춤, 일시 정지, 음량조절 등과 같이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합니다.
자동재생 금지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예측가능성

요약 설명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화면 전환이나 이벤트 등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고려 사항
  • 화면이 전환되거나 팝업과 같은 이벤트가 실행되는 경우 이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결 및 전환되는 경우 이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예측가능성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