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정보 단말기 접근성 - by. UXKM

요약 설명

무인정보단말기 접근성(accessibility of self-service kiosk)이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류 발급, 정보 제공, 상품 주문 및 결제 등의 사항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단말기를 의미합니다.
웹 접근성과 마찬가지로 무인정보단말기 접근성도 모든 사람들이 정보통신 기기나 서비스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해야하며, 무인정보단말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또한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무인정보단말기를 비장애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애를 지닌 사용자나 고령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합니다.

사용자별 무인정보단말기 이용상 어려움

  1. 고령자(노인)
    • 글씨나 아이콘이 너무 작고 흐려서 알아보기 어려움

      시력이 약해진 고령자에게 작은 글씨와 아이콘은 식별이 어렵습니다. 글씨 크기를 키우고, 아이콘을 선명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 화면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우며 무엇을 조작해야 하는지 알 수 없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복잡하면 고령자가 쉽게 이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화면을 단순화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 음성안내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파악하는 데 오래 걸림

      음성 안내가 제공되면 시각적인 정보 이해가 어려운 고령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언어와 음성 안내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 사용자 입력 대기 시간이 짧아서 내용을 파악하기도 전에 초기 화면으로 전환되어 버림

      사용자 입력 대기 시간을 길게 설정하여 고령자들이 충분히 내용을 파악하고 입력할 시간을 제공해야 합니다.

  2. 휠체어 사용자
    • 디스플레이 위치가 높아 화면을 볼 수 없음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낮추거나 각도를 조절하여 휠체어 사용자도 쉽게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조작 버튼 위치가 높아 조작이 어려움

      조작 버튼을 손이 닿기 쉬운 위치에 배치해야 합니다.

    • 화면에 빛의 비침 때문에 따라 보기 어려움

      반사 방지 화면을 사용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빛 반사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3. 시각 장애인
    • 전맹(음성 안내와 점자 지원이 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음)

      시각 장애인을 위해 음성 안내 기능과 점자 디스플레이를 추가해야 합니다.

    • 저시력(화면 색 대비가 뚜렷하지 않아서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움)

      저시력 사용자를 위해 화면 색 대비를 높이고, 확대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4. 청각 장애인
    • 기계에서 신용카드가 나오지 않는 등 고장 시, 담당자 통화 버튼으로 음성 통화가 어려워 도움을 청할 방법이 없음

      청각 장애인을 위해 문자 기반의 실시간 채팅 지원이나 시각적인 안내 시스템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고장 시 시각적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무인정보단말기 정보접근성 준수 기본적인 고려사항

  1. 터치 스크린 버튼 간 충분한 간격
    • 대상 : 노인, 손떨림 장애
    • 터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버튼 간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쉽게 버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컨트롤 간 간격 2.5mm 이상 권고
    터치 스크린 버튼 간 충분한 간격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2. 작동부와 디스플레이 위치
    • 대상 : 휠체어 사용자, 어린이
    • 휠체어 사용자와 키가 작은 어린이도 접근할 수 있도록 작동부와 디스플레이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합니다.
    작동부와 디스플레이 위치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3. 쉽고 간단한 설명
    • 대상 : 노인, 발달장애
    • 간단한 언어와 시각적 도움을 통해 사용법을 설명하여 이해를 돕습니다.
    쉽고 간단한 설명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4. 고대비 필요
    • 대상 : 저시력, 노안
    • 텍스트와 배경 간의 색 대비를 높여 가독성을 향상시킵니다. 예를 들어, 흰색 배경에 검은색 텍스트를 사용합니다.
    고대비 필요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5. 큰 텍스트와 아이콘
    • 대상 : 저시력, 노안
    • 텍스트와 아이콘의 크기를 크게 하여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큰 텍스트와 아이콘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6. 설명과 버튼의 명확한 연결
    • 대상 : 노인, 저시력
    • 설명과 버튼이 명확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설명과 버튼의 명확한 연결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7. 불명확한 아이콘 대신 글자 설명 추가
    • 대상 : 노인
    • 아이콘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글자 설명을 추가합니다.
    불명확한 아이콘 대신 글자 설명 추가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8. 물리적 버튼에 점자 표시
    • 대상 : 노인
    • 물리적 버튼에 점자를 추가하여 시각장애인이 버튼을 쉽게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물리적 버튼에 점자 표시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9. 누르는 조작에 필요한 힘
    • 대상 : 상지장애, 시각장애인
    • 버튼을 누르는 데 필요한 힘을 줄여 상지장애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누르는 조작에 필요한 힘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10. 화면 반사 해결
    • 대상 : 휠체어 사용자
    • 화면의 반사를 줄여 다양한 각도에서 화면을 쉽게 볼 수 있도록 매트 스크린이나 안티-글레어 코팅을 사용합니다.
    화면 반사 해결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11. 촉각돌기를 이용한 인식
    • 대상 : 노인, 시각장애
    • 촉각돌기를 추가하여 시각장애인이 작동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촉각돌기를 이용한 인식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12. 음성 설명
    • 대상 : 전맹, 시각장애
    • 주요 기능과 사용 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시각장애인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음성 설명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13. 삽입구, 버튼, 깉카 스위치 등 인식
    • 대상 : 시각장애인
    • 삽입구, 버튼 등의 위치를 촉각 및 청각적 신호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삽입구, 버튼, 깉카 스위치 등 인식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14. 배출 후 고정
    • 대상 : 시각장애인
    • 배출된 물품이 고정되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배출 후 고정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15. 색을 이용한 정보의 제공 금지
    • 대상 : 시각장애인
    • 정보를 전달할 때 색상만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텍스트나 아이콘 등을 함께 사용합니다.
    색을 이용한 정보의 제공 금지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16. 작업 종료 수단 제공
    • 대상 : 모든 사용자
    • 사용자가 작업을 중단하거나 종료할 수 있는 명확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작업 종료 수단 제공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17. 충분한 시간 제공(제한시간 변경 등)
    • 대상 : 모든 사용자
    • 사용자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제한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충분한 시간 제공(제한시간 변경 등)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
  18. 헬프 데스크 운영
    • 대상 : 모든 사용자
    • 문제가 발생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헬프 데스크를 운영합니다.
    헬프 데스크 운영
    이미지 출처 : 보건복지부